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생리학/골격 및 근육

내전근의 해부학적 이해와 기능적 접근법(Adductor)

Adductor Muscles
Adductor Group 내전근 그룹

 

     내전근은 허벅지의 내측면에 위치한 근육 그룹으로 고관절을 내전시켜 다리를 몸의 정중선으로 가져온다. Newman kinesiology에서 내전근은 움직이는 동안 골반에 안정성과 지지를 제공하는 기능적 근육군으로 분류된다. 근막경선 해부학에 따르면, 내전근은 발 바닥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이어지는 근육과 근막의 연속 사슬인 Deep Front Line의 일부이다. 이 선은 신체 정중선에서 힘을 전달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전근은 치골과 심부 코어 근육에 연결되어 있어 움직일 때 골반 정렬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내전근 불균형의 평가는 수동 근육 검사, 운동 범위 평가 및 운동 패턴 관찰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내전근 불균형의 치료에는 강화 운동, 스트레칭, 근막 이완 및 통증유발점 요법과 같은 도수 요법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내전근을 강화하기 위해 서 있는 고관절 내전, 앉은 고관절 내전, 옆으로 누워 다리 들어올리기와 같은 운동을 사용할 수 있다. 버터플라이 스트레칭 및 스트래들 스트레칭과 같은 스트레칭 운동은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내전근의 긴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막 이완 및 통증유발점 요법과 같은 도수 요법 기술은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Adductor 내전근의 Original기시점과 Insertion정지점

모든 내전근은 Pubis 두덩뼈에서 기시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단 대내전근의 뒤쪽섬유는 Ischial 궁둥뼈에서 기시한다. 그리고 Gracilis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내전근들은 단관절 근육이니 이 점을 참고하라.

 

1-1. Adductor Magnus 대내전근(큰모음근)

Adductor Magnus
Adductor Magnus 대내전근

뉴만키네지올로지에 따르면 대내전근은 두개의 갈래로 분류된다. Anterior Head 앞갈래는 가로섬유와 빗섬유로 구분되며 가로섬유는 수평에 가까운 벡터를 가지며 대내전근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다. 빗섬유는 가로섬유보다 뒤쪽에 위치하며 대내전근의 중간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Posterior Head 뒤갈래는 가장뒤쪽에 위치하며 벡터방향은 수직에 가깝다.

대내전근이 총 3개의 부위가 있는것을 확인하라. 앞갈래의 수평섬유와 빗섬유, 수직으로 주행하는 뒤갈래

1-1-1. Transverse Fiber of Anterior Head 앞갈래의 가로섬유(TF)

  • Origin 기시점 : inferior ramus of the pubis 치골(두덩뼈)의 아래쪽 가지
  • Insertion 정지점 : linea aspera of the femur 대퇴골의 조선

1-1-2. Oblique Fiber of Anterior Head 앞갈래의 빗섬유(OF)

  • Origin 기시점 :  inferior ramus of the pubis 치골(두덩뼈)의 아래쪽 가지, ischial ramus and ischial tuberosity. 궁둥뼈(좌골) 가지, 결절
  • Insertion 정지점 : linea aspera of the femur 대퇴골의 조선

1-1-3. Posterior Head 뒤갈래(PH) 

대내전근의 뒤갈래는 '햄스트링갈래' 라고도 불린다. 이는 대내전근의 뒤쪽 섬유가 고관절을 펴는 햄스트링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 Origin 기시점 : ischial tuberosity 좌골(궁둥뼈) 결절
  • Insertion 정지점 : adductor tubercle of the femur 대퇴골의 모음근 결절

 

1-2. Adductor Longus 장내전근(긴모음근)

Adductor Longus
Adductor Longus 장내전근(긴모음근)

  • Origin 기시점 : Body of pubis, inferior to pubic crest and lateral to the pubic symphysis 
  • Insertion 정지점 : Medial ridge of linea aspera 조선의 안쪽 융기

scarpa triangle
Scarpa Triangle 스카르파 삼각

Adductor Longus 장내전근은 Inguinal Ligament 샅고랑인대(서혜인대)와 Sartorius봉공근(넙다리 빗근)과 함께 Scarpa Triangle 스카르파 삼각을 구성한다. 스카르파 삼각으로 넙다리신경, 넙다리 동정맥이 지나가는 모습이다.

 

1-3. Adductor Brevis 단내전근(짧은모음근)

Adductor Brevis
Adductor Brevis 단내전근(짧은 모음근)

  • Origin 기시점 : Inferior ramus of the pubis 두덩뼈 아래가지
  • Insertion 정지점 : Pectineal line and linea aspera of the femur. 대퇴골의 두덩근선과 조선의 몸쪽 안쪽 1/2

 

1-4. Pectineus 치골근(두덩근)

Pectineus
Pectineus 치골근(두덩근)

 

  • Origin 기시점 : Superior Ramus of the Pubis 두덩뼈 위가지
  • Insertion 정지점 : Pectineal Line of the Femur 대퇴골의 두덩근선

 

1-5. Gracilis 박근(두덩정강근)

Gracilis
Gracilis 박근(두덩정강근)

내전근 그룹중 유일하게 2관절 근육이다. 이 말을 다르게 해석하면 박근을 제외한 모든 내전근은 골반의 모음과 무릎의 밖굽이를 유발할 수 있찌만 유일하게 박근만이 정강뼈를 잡아당겨 무릎의 밖굽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Origin 기시점 : Inferior ramus of the pubis 두덩뼈 아래가지
  • Insertion 정지점 : Superior part of the medial surface of the tibia(Pes Anserinus Tendons 거위발힘줄). 경골의 내측면의 윗부분

 

2. 내전근의 신경지배와 혈관

 

 

3. 내전근의 기능

내전근의 1차적인 기능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골반의 내전이다. 하지만 골반이 굽혀질때 내회전을 하기도하며 골반이 완전히 굽혀지거나 펴진 위치에서는 골반을 펴고 굽히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3-1. 시상면, 관상면, 수평면 움직임에 모두 개입하는 내전근

내전근은 모든 운동면에서 토크(돌림힘)을 생상하는데 이러한 역할때문에 Strain 좌상에 취약하다. 내전근은 말 그대로 내전을 하는 근육이다. 그렇기 때문에 관상면에 대한 언급은 따로하지 않겠다.

 

3-1-1. 시상면에서의 기능

Adductor LongusHip Flexion
장내전근과 골반관절의 관상축 (왼쪽), 장내전근이 골반굽힘 40~70도 범위에 근접할때 근육의 벡터가 축과 가까워지며 모멘트암이 감소되는 모습(왼쪽)

뉴만키네지올로지에 따르면 고관절(골반관절, Hip Joint)이 40~70도 굽힘된 위치에 있을때 시상면상의 토크는 상실된다. 그 이유는 이러한 자세에서 근육의 벡터가 골반관절의 관상축(시상면)에 근접하기 때문이다. 문열때 축에서 멀어진곳을 밀때와 축과 가까운곳을 밀때를 비교했을때 뭐가 더 쉬운지 생각해보라.

Hip Joint Movement
골반이 굽힘되었을때 골반 폄 토크를 생성하는 내전근(왼쪽), 골반이 폄 되었을때 굽힘 토크를 생성하는 내전근(오른쪽)

내전근은 굉장히 신기한 근육이다. 내전근은 시상면상에서 골반 굽힘과 폄을 둘다 할 수 있는데 이는 골반이 굽힘되어있을때는 골반을 폄시키고 골반이 폄되어있을때는 굽힘시키는 역할을 가진다. 뉴만키네지올로지에 따르면 이러한 이방향 토크는 달리기, 걷기, 런지, 스쿼트, 점프, 플라이오메트릭 등 높은 파워가 요구되는 순환적인 동작들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한다. 

Hip Extension
Adductor Magnus 대내전근의 후방섬유(햄스트링섬유)가 골반 폄 토크를 생성하는 장면이다.

대내전근의 후방섬유 Posterior Head는 햄스트링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앞서 언급하였다. 마사지볼이나 폼롤러로 근막이완을 할때 햄스트링 뿐만 아니라 내전근 또한 잘풀어야 하는 이유다.

 

 

3-1-2. 수평면에서의 기능

고관절
고관절 내회전 벡터(빨간색)와 외회전 벡터(파란색)

골반관절을 내회전 시키는 일차적인 근육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서 있을때 세로축(수평면)의 앞쪽으로 지나가는 이른바 '내회전 근육들의 벡터'들이 너무나 작은 모멘트암을 갖기 때문이다. 모멘트암이 작다는것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 열때 축에서 가까운곳을 밀어보면 된다.

중둔근
고관절이 굴곡될수록 내회전근육으로 변하는 중둔근이다.

하지만 엉덩관절(고관절, 골반관절)이 굽힘되면서 '내회전 근육'들의 골반 내회전에 대한 모멘트암은 상승하는데 심지어 '외회전 근육'이라고 불리는 중둔근 뒤섬유, 이상근, 대둔근 앞섬유, 소둔근 뒤섬유 들도 고관절이 60도 넘게 굽힘되면 내회전근육으로 변한다. 이것은 추측인데 골반의 굽힘이 진행될수록 고관절 내회전의 토크는 증가하기때문에 골반 전방경사가 있는사람은 무릎의 밖굽이(대퇴골 내회전과 이를 보상하기위한 경골의 외회전)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서적마다 다르니 참고하라.

고관절 내회전
보행시 고관절 내회전

보행(걷기)이나 주행(달리기)에서 몸통은 입각기(지면에 닿아있는쪽 발의 걸음주기)에 접어선 다리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는 고관절의 내회전이다. 고관절 내회전 근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이러한 움직임에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상체가 과도하게 숙여지며 일부러 고관절 굴곡을 만들어 이를 보상할 수 있다.(고관절 굴곡시 내회전근육들의 모멘트암이 상승되기때문)

고관절
고관절 세로축과 앞으로 휘어진 대퇴골 그리고 세로축과 내전근

대부분의 내전근들은 해부학적 위치에서 고관절 내회전을 만들 수있다. 하지만 내전근이 대퇴골의 조선에 부착하는것을 알면 이것을 이해하기 힘들것이다. '내전근이 두덩뼈에서 대퇴골의 뒤쪽으로 주행하면 내전근은 골반 외회전근육이 아닌가? '라고 착가할 수 있는데 이는 틀렸다. Femur 대퇴골은 활처럼 약간 앞쪽으로 휘어져 있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내전근들은 고관절의 세로축보다 약간 앞으로부착되며 이는 고관절을 내회전시킨다.

무릎 밖굽이급격한 방향전환
거위발근육군 포함 약한근육으로 인해 착지시 무릎이 밖굽이되는 모습(왼쪽), 급격한 방향전환시 거위발 근육군의 감속 역할(오른쪽)

https://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15

 

Hamstring의 해부학적 이해와 움직임 분석

햄스트링 복합체는 대퇴이두근 장두, 대퇴이두근 단두, 반건양근, 반막양근 등 허벅지 뒤쪽에 위치한 네 개의 근육 그룹이다. 이 근육은 고관절 신전과 무릎 굴곡, 걷기와 달리기 시 골반 안정화

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

내전근중 Gracilis박근(두덩정강근)의 역할은 '햄스트링의 해부학적 이해와 움직임 분석' 편에서도 언급하였듯이 Sartorius봉공근(넙다리빗근), Semitendinosus반건양근 과 함께 Pes Anserinus Tendons 거위발힘줄을 구성한다. 거위발 근육군의 여할은 무릎의 밖굽이를 막고 경골을 내회전시킨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글을 참고하라.

 

3-2. 근막적 연결

(추후 업로드 예정)

 

 

4. 내전근 트레이닝

4-1. 코펜하겐 플랭크

https://www.youtube.com/watch?v=kD1t1hWzIDE 

 

 

 

4-2. 내전근 사이드 브릿지(뉴렉)

https://www.youtube.com/watch?v=jVILcMvk39E 

 

 

 

4-3. 코삭 스쿼트(사이드 런지)

https://www.youtube.com/watch?v=tpczTeSkHz0 

 

 

 

4-4. 싱글레그데드리프트 + 힙 에어플레인

https://www.youtube.com/watch?v=zNGpdD6ig4U 

힙 에어플레인은 아무런 부하가 없을때 내전근의 스트레칭, 둔근&골반회전근개 강화운동 이다. 내전근 스트레칭 동작이긴 하지만 밴드나 케이블로 부하의 방향을 다르게 한다면 내전근 운동이 될 수 도 있다.

 

 

4-5. 하프 닐링 웨이트 쉬프트

https://www.youtube.com/watch?v=YT0KUNuY7QM 

하프닐링 웨이트 쉬프트는 말 그대로 한 다리만 꿇어 앉은 자세에서 반대편 골반을 90도 Abduction외전시키고 무릎을 접어 체중을 지지한 자세에서 골반을 외전시킨 다리쪽으로 체중을 이동시키는 운동이다. 사실 이러한 운동은 내전근 운동이라기 보다 내전근 스트레칭에 가깝다. 무릎뼈가 2~3번째 발가락 방향을 따라가기 위해 둔근을 강하게 수축시켜 외회전을 만들고 진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