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생리학/골격 및 근육

일반인도 이해하는 상완골 해부학

상완골
Humerus 상완골(위팔뼈)

     상완골은 인체의 상완을 구성하는 긴 뼈이다. 팔에서 가장 큰 뼈이며 어깨 관절에서 팔꿈치 관절까지 이어진다. 상완골은 어깨 관절에서 견갑골(견갑골)에 연결되고 팔꿈치 관절에서 요골과 척골에 연결된다.

 

1. Proximal Part 몸통 부위(근위부)

위팔뼈어깨뼈어깨복합체노신경고랑
Humerus 상완골

     상완골(Humerus, 위팔뼈)의 몸통부분(근위부, Proximal Part) 은 견갑골(Scapula, 어깨뼈)과 관절하여 Glenohumeral Joint(상완와관절, 오목위팔관절)을 형성하며 Humerus Head 상완골두(위팔뼈 머리), Anatomic Head 해부목, Greater Tubercle 대결절, Lesser Tubercle 소결절, Intertubercular Groove 결절사이고랑(이두근 고랑), Radial Groove 노신경고랑 과같은 랜드마크들이 존재한다. 상완골은 어깨뼈와 관절하기 위해서 몇가지 특성을 가진다. 먼저 상완골두가 위팔뼈몸통의 수직축에 대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135도 정도 들려있는데 이것을 Angle of Inclination 경사각이라고 한다. 두번째로 수평면상에서 30도 정도 뒤쪽으로 Torsion(비틀림) 되어 있는데 이것을 Retroversion 후경(뒤경사)라고 한다. 견갑골 또한 상완골과 관절하기 위해 관상면이 아닌 수평면에 대해 앞쪽으로 35도정도 돌려서 부착되는데 이것을 견갑면 이라고 한다. 상완골두를 몸통과 분리시키는 선은 Anatomic Head 해부목이라고 불리며 고관절의 대퇴골에 비해 길이가 짧다. 상완골두의 가쪽과 앞쪽에는 Greater Tubercle대결절과 Lesser Tubercle소결절이 존재하는데 이 결절들은 아래쪽으로 이어져 산맥과 같은 Crest 능선을 만들며 능선 사이로 계곡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Intertubercular Groove 결절사이고랑이라 한다. 결절사이고랑은 이두근고랑이라고도 불리는데 이 계곡사이로 Biceps Brachii Long Head 상완이두근의 장두가 지나간다. 상완이두근에 관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라.

https://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14

 

Biceps Brachii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과 손목, 어깨, 팔꿈치의 통합적 이해

Biceps Brachii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은 아래팔의 가장 강력한 뒤침근육이자 팔꿈치 굽힘, 그리고 약간의 어깨 굽힘을 담당한다. 상완이두근의 정지점과 기시점을 통해 기능을 이해하고 과활성

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

     대결절은 앞쪽이 가장 높으며 뒤쪽이 가장 낮은데 이러한 경사 차이 때문에 Upper Facet 위면, Middle Facet 중간면, Lower Facet 아랫면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위면에는 Supraspinatus 극상근(가시위근), 중간면에는 Infaspinatus 극하근(가시아래근), 아랫면에는 Teres Minor 소원근(작은원근)이 부착되며 이들의 공통점은 GHJ 오목위팔관절을 외회전시킨다. 소결절에는 Subscapularis 견갑하근(어깨밑근)이 부착되며 GHJ를 내회전 시킨다. 

https://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13

 

어깨 통증의 해부학 적 이해와 기능적 접근을 통한 해결 방법

어깨가 아파서 병원을 찾아가면 소염제 처방하거나 주사 몇대주고 집에 보낸다. 그리고 운동을 쉬라고 한다. 그리고 몇일동안 괜찮지만 통증은 다시 찾아온다. 결국 병원비로 돈만 깨지고 증상

korea-exercise-specialist.tistory.com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를 통틀어 Rotator Cuff 회전근개 라고 하는데 회전근개는 상완와관절을 회전시킬뿐만 아니라 위팔뼈가 움직일때 상완골두를 Glenoid Fossa관절와로 잡아당겨 관절중심화를 유지한다. 인체의 움직임에 관한 원리는 한문장으로 귀결되는데 이것은 '호흡을 통한 관절중심화를 통한 기능적움직임 생성' 이다. 그 중 관절중심화에 관한것이 앞서 언급한내용이다. 인체의 심부에 존재하는 근육인 '속근육'들은 Type I Muscles인데 지근(적근)이라고 불리며 강한 지구력을 통해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Deep Hip Roator 심부 골반 회전근(골반회전근개)뿐만 아니라 척추에 존재하는 Multifidus 다열근, Semispinalis 반가시근 그리고 Diaphragm 횡경막, Transverse Abdominis복횡근과 같은 근육들이 이에 속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회전근개들은 인대와 같은 수동적인 결합조직과 달리 팔뼈가 움직일때 능동적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이것을 '동적 안정자 역할'이라고 한다. 그래서 근방추와 같은 감지기관이 겉근육(움직임을 생성하는 근육)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데 만약 좋지 않은 자세, 움직임, 부상으로 인해 이들의 감지역할이 배제 된다면 관절중심화가 깨지며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어깨통증의 해부학적이해와 기능적 접근을 통한 해결방법'을 참고하라.

위팔뼈삼각근
상완골에 부착되는 근육들

대결절과 소결절은 산맥처럼 Crest 능선을 형성하는데 능선은 어느정도 아래까지 주행하며 결절사이에 고랑을 만든다고 앞서 언급하였다. 이러한 볼록하고 오목한 해부학적 특징은 근육이나 인대와 같은 조직들의 부착지점을 제공한다. 상완골의 가쪽 중간정도에 역시 Deltoid Tuberosity 세모근 거친면(삼각근 조면)이 존재하며 삼각근의 Insertion정지점이 된다. 

어깨네모공간
Quadrilateral space 어깨네모공간

소원근, 대원근, 상완삼두근의 장두, 위팔뼈로 인해 위 사진과 같은 공간들이 생긴다. 견갑네모공간(어깨네모공간)으로 Axillary Nerve 액와신경(겨드랑신경)이 지나가는데 겨드랑신경은 삼각근과 소원근을 지배한다. 만약 근육이 뭉쳐서 이곳으로 지나가는 신경을 포착한다면 삼각근과 소원근의 근력약화, 견갑골 외측의 통증, 네모공간 부위 무감각, 촉진시 통증, 외회전 및 오버헤드동작시 통증(야구나 배구), 근육 위축(근육 크기 감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폼롤러나 마사지볼로 어깨 주변을 이완시키고 어깨 근육 스트레칭,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2. Distal Part 먼쪽 부위(원위부)

(추후 업로드 예정)